본문 바로가기
영화 리뷰

인사이드 아웃 : 불필요한 감정은 없다

by goaattt 2024. 12. 18.
반응형

1. 줄거리

 

[인사이드 아웃]은 11살 소녀 라일리의 머릿속 감정들이 그녀의 삶과 성장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다룬 독특한 이야기입니다. 감정의 본부에 사는 다섯 개의 주된 감정—기쁨, 슬픔, 분노, 공포, 까탈—이 그녀의 행동과 기억을 조정하며 일어나는 사건들을 보여줍니다.

 

스토리의 전개

라일리는 미네소타에서 행복한 삶을 보내고 있었지만, 아버지의 직장 문제로 인해 가족이 샌프란시스코로 이사하면서 모든 것이 흔들리기 시작합니다. 새집은 불편하고, 새로운 학교와 친구들과의 관계는 어색하기만 합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본부의 감정들도 균형을 잃고, 특히 슬픔이 이상 행동을 보이며 라일리의 핵심 기억들을 바꾸기 시작합니다. 이를 막으려던 기쁨슬픔과 함께 본부를 떠나 기억 저장소로 빨려 들어가고, 이로 인해 본부는 혼란에 빠지게 됩니다.

 

기쁨과 슬픔은 본부로 돌아가기 위해 장기 기억 창고와 상상의 세계, 꿈 공장 등을 지나며 여정을 떠납니다. 이 과정에서 라일리의 어린 시절 상상 친구인 빙봉을 만나 도움을 받습니다. 빙봉은 라일리의 잃어버린 유년기를 상징하며, 기쁨과 슬픔이 본부로 돌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편, 본부에 남은 분노, 공포, 까탈은 라일리를 통제하려 하지만, 그녀의 감정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균형을 잃습니다. 그 결과, 라일리는 무기력해지고 가족과도 소원해지며 도망가기로 결심합니다.

 

감정의 발견과 변화

기쁨은 여정 속에서 슬픔이 중요한 이유를 깨닫게 됩니다. 슬픔은 단지 부정적인 감정이 아니라, 공감을 이끌어내고 사람들 간의 유대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빙봉의 희생을 통해 기쁨과 슬픔은 마침내 본부로 돌아가고, 라일리의 감정을 다시 조율하기 시작합니다.

 

본부로 돌아온 감정들은 힘을 합쳐 라일리가 부모님에게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털어놓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라일리는 자신의 불안과 슬픔을 인정하고 부모와 화해하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성장하기 시작합니다.

 

결말과 교훈

영화는 단순히 행복을 추구하기보다는 모든 감정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특히, 슬픔은 고립감을 치유하고 사람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며, 성장과 변화에 필수적임을 보여줍니다. 라일리는 기쁨뿐 아니라 슬픔, 분노, 공포, 까탈 모두가 자신의 삶을 구성하는 중요한 일부임을 깨닫게 됩니다.

2. 등장인물

 

라일리 : 11살 소녀로, 이 영화의 주인공입니다. 미네소타에서 행복한 삶을 살고 있었지만, 아버지의 직장을 이유로 삶의 변화를 마주하게 되면서 감정들의 혼란으로 사건이 벌어지게 되는 주인공입니다.

 

기쁨(Joy): 라일리의 행복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긍정적이고 활발한 감정입니다.

슬픔(Sadness): 종종 부정적으로 여겨지지만,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라일리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감정입니다.

분노(Anger): 공정함을 중시하며, 라일리가 화가 나게 할 때 주도권을 잡습니다.

공포(Fear): 위험으로부터 라일리를 보호하는 신중한 감정입니다.

까탈(Disgust): 라일리를 해로울 수 있는 것들로부터 지키려는 경계심 많은 감정입니다.

 

 

3. 총평

 

분명 아이들을 위한 감정 교과서 같은 애니메이션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이 영화는 어른들을 위한 애니메이션임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어린이들이 본다면 이 영화가 보여주고자 하는 메시지를 다 읽을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감정들이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정말 창조적이면서도 귀여운 방법으로 보여주었고, 어린 시절의 추억들이 서서히 사라져가는 모습을 보니 옛날의 추억을 되돌아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마음속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새롭고 신박한 시각에서 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빙봉이 사라지는 모습이야말로 어렸을 때 기억들이 서서히 없어지는 모습에 충분히 대입해서 볼 수 있었으며, 눈물 없이 볼 수 없었던 것 같습니다. 결국, 필요없는 감정은 없는 것이라는 중요한 메시지를 주는 영화였던 것 같습니다.

 

반응형